본문 바로가기
공부/물리치료 국가고시

물리치료 국가고시 대비 - 질환별물리치료(근골격계)

by 가 온 2017. 7. 29.
반응형

해당 게시글 전체 내용은 티스토리 블로그를 정리하며 네이버 블로그로 옮겼습니다.

옮긴 주소 : https://blog.naver.com/physioimrehab/223692409112

 

물리치료 국가고시 대비 - 질환별물리치료(근골격계)

해당 정리글은 기존에 운영하던 가온누리 티스토리 블로그를 정리하고 네이버로 이사하며 가져온 내용입니...

blog.naver.com


아래의 내용은 원 게시글의 내용 중 일부입니다.

 

1 장 골절에 대한 물리치료

◎ 상지의 골절

1. 손(Hand)의 골절

1) 손골절의 종류

(1)손가락 골절: 중지, 엄지 순으로 골절이 잘 일어남

(2)망치손가락(Mallet Finger): 온손가락폄근의 먼쪽 부착점이 단열(끝마디뼈가 폄되지 않아 굽힘변형을 초래), 야구손가락이라고도 부름

*망치손가락에서 백조목구멍 변형으로 진행가능

(3)손허리뼈목 골절

- 가장 흔한 것은 5번째 손허리뼈목 골절로 복서골절(Boxer fx.), fighter 골절이라고도 함

- ulnar gutter splint 통해 고정

(4)Bennett골절 : 1번째 손허리뼈 몸쪽과 노뼈쪽 탈구 동반 된 관절 내 골절 (엄지손허리뼈 손바닥 쪽 골절)

(5)롤란도(Rolando) : 엄지손허리뼈 손바닥면 기저부에서 발생한 Y자 모양의 골절

*Bennett 골절 : 1st MP bone neck fx. - 세로골절

*Rolando 골절 : 1st MP bone base fx. - Y형 골절

*역Bennett골절: 제5손허리뼈의 기저부가 골절되어 5th mp bone이 내측과 등쪽으로 전위가 일어나는 골절

 

 

2. 손목(Wrist) 골절

1) 손목 골절의 종류

(1) Colles’s fracture

①정의: 노뼈 먼쪽 뼈몸통끝 골절, 노손목관절 면으로부터 1.5인치 이내 가로골절

②발생: 손바닥으로 짚고 넘어질 때 발생

③호발: 중년기 여성(폐경기)

④전위방향: 노뼈 먼쪽의 뒤쪽전위 – 뼈 조각은 손등, 노뼈는 손바닥쪽으로 향하게 됨

⑤빈도: 먼쪽노뼈골절의 90%

⑥증상: 손목 통증, 변형, 부종, 손의 약화

*Dinner fork deformity&은 포크 변형 이라고도 불림

⑦합병증

a. 어깨의 동반 손상

b. 정중신경염 (손가락의 무감각과 따끔거림 동반)

c. 긴엄지폄근의 힘줄 파열(엄지의 먼쪽손가락뼈 폄 제한)

d. 불유합과 부정유합

e. 외상성 관절염

f. Sudeck's Atrophy

*Sudeck위축이란 골절이나 탈구, 염좌등과 같은 외상후에 동통이 소실되기에 충분한 기간이 경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인 불명의 통증이 지속적으로 계속되는 것

*Sudeck's Atrophy 호발부위

-Infratibia 1/3

-Femur neck

-Humerus shaft

-Radius distal

-Ulnar proximal

-Scaphoid

 

 

(2) Smith 골절(=역 Colles 골절)

①정의: 골절편이 전방으로 전위된 노뼈 먼쪽부분의 골절

②발생: 손등으로 짚고 넘어지거나 손목관절 손등면에 직접적인 외력 작용으로 발생.

③호발: 주로 젊은층

④전위방향: 노뼈 먼쪽 골절면이 앞쪽으로 전위 또는 굽혀짐(정원삽 모양) - 뼈 조각은 손바닥, 노뼈는 손등쪽으로 향하게 됨

⑤발생빈도: 매우 드물다.

⑥골절선: 골절선은 대개 가로형이며 관절내로 연장가능

 

 

(3) 손배뼈 골절

①정의: 손목 폄 및 노쪽 굽힘 상태에서 손바닥으로 짚고 넘어지면서 손목 몸쪽줄 안쪽 손목뼈 골절

 

증상

a. 시각적 변화

해부학적 코담배갑 부위 부종

*코담배갑 구성 근육

-긴엄지벌림근 ABPL

-짧은엄지폄근 EPB

-긴엄지폄근 EPL

피부색의 변화

손의 근육 위축(경우에 따라 팔에도 위축 발생)

b. 촉각적 변화

국소부위에 약간의 온도 상승

수술 후 심한 반흔이나 유착이 촉지

해부학적 코담배갑 부위의 압통

Hyperthenar 압박시 통증

c. 기능적 변화

집거나 잡기 기능 제한

손목관절의 모든 운동범위 제한 밑 통증 (특히 벌림 시 통증 심함)

 

합병증

a. 뼈의 몸쪽 1/3 골절 시 무혈성괴사가 자주 발생

b. 몸쪽 극(뼈가시)골절 시 퇴행성 변화

c. 손가락 기능 장애

d. 불유합과 부정유합

 

④치료: 벌림과 맞섬(adduction and opposition)상태로 고정, 고정 후 근력 및 근지구력 운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