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Red flag 감별진단

Gastrointestinal disease - Red flag 감별진단 교육 7주차 정리

by 가 온 2020. 11. 21.
반응형

Gastrointestinal disease

 

1. Pain pattern

* 장기의 위치가 목부터 골반까지 위치하기 때문에 넓은 범위에 발생에서 통증 발생

 

2. Signs & symptoms

1) 복통


2) 연하 곤란 / 연하통 (Dysphagia 삼키기 어려움 / Odynophagia 삼키는 동안 통증)


3) 위장관 출혈 (구토, 혈변, 적혈구)

• 우측 상복부 방사통 및 Mid thoracic back pain 나타날 수 있음 
• 구토, 혈변, 빈혈 발생 가능


4) 명치쪽 통증과 등 방사통 (요통처럼 느끼게 할 수 있음)

• 궤양으로 인해 명치 통증, 등(허리) 통증 나타날 수 있음

• 환자는 명치 통증의 원인으로 궤양을 생각할 수 있지만 등(허리) 통증이 궤양과는 관련된다고 생각은 못함

xiphoid process 에서 시작하여 목과 목구멍으로 퍼지는 타는듯한 느낌과 속쓰림을 느낄 수 있음


5) 음식의 영향을받는 증상 (좋아지거나 나빠지거나)


6) 체중 감소 및 빠른 포만감 

적은 식사에도 포만감 느낌

골다공증을 포함한 다양한 장애로 인해 척추압박골절이 나타날 수 있음(심각한 척추변형 초래 할 수 있음)

Ex. Lumbar Kypho 되면 자세를 세우는데 더 힘듦 -> IAP 상승(더 큰힘을 내기 위해) -> 장이 제대로 활성화 되지 않아 조금만 먹어도 배부를 수 있음

영양실조가 발생할 수 있음

 

7) 변비 / 설사


8) 관절통 (손가락, 발목, 무릎 등이 아프며 아픈 위치가 바뀌기도 함)

IBD(염증성 장질한) 환자의 40-50%에서 발생

크론병(CD)환자의 15-20%, 궤양성 대장염(UC) 환자의 10%에서 발생

Peripheral 말초관절염/ Oligoarthritis 소수성 관절염/ Symmetric polyarthritis 대칭적인 다발성 관절염

IBD는 Achilles tendon, Patellar tendon 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음

 

9) 연관통

Kehr's sign :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높였을 때 복막강에 혈액이나 다른 자극에 의해 횡격막이 자극 됨 -> 횡격막 신경을 통해 어깨 끝에 급성 통증이 생기는 것(왼쪽어깨 통증) - 비장 파열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간주


10) 압통

 
11) 신경 병증

* Systemic 문제로 CTS 나 TOS 나타날 수 있음

 비타민 B1 (thiamine) : 위장 절제술 후 비타민 B1 결핍 나타날 수 있음(빠르면 2개월 늦으면 몇 년후에)

 비타민 B12 (cobalamin) 결핍

주의사항 : 노화(위액 줄어듦), 위장 절제술, 다이어트, 알코올 중독

Ex. 수술 등으로 인해 위산분비에 문제가 생기면 비타민 흡수 저하됨

 

*소화기계가 안좋으면 SI Jt., Lumbar, Hip Jt. 등 여러 곳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8, 9, 10번 증상으로 인해 치료사를 찾아올 수 있음

 

 

비장파열 사례

• 43-year-old woman
• Riding a bicycle when she was struck from behind and thrown to the ground
• Seen at the local walk-in clinic and released with a prescription for painkillers and muscle relaxants.
• X-rays of her head and neck were unremarkable for obvious injury

• Came to the physical therapy clinic 3 days later with complaints of left shoulder, rib,
and wrist pain (self-referral)

• Obvious bruising along the left chest wall and upper abdomen
• started her on a program of Codman’s exercises, progressing to active shoulder motion.
• The client experienced progress over the next 5 days and then reported severe back muscle spasms.
• The client called the therapist and cancelled her next appointment because she had the flu with fever and vomiting.
• When she returned, the therapist continued to treat her with active exercise progressing to resistive strengthening.
• The client’s painful shoulder and back symptoms remained the same, but the client reported that she was “less stiff.”

 Three weeks after the initial accident, the client collapsed at work
 Transported to the hospital for emergency surgery
 Spleen had been damaged by the initial trauma with a slow bleed that eventually ruptured
 The client filed a lawsuit in which the therapist was named
(Goodman & Snyder, 2013)

 

#Takeaway

 Self-referral : 의사에게 진료를 받았으나 의사가 물리치료 처방 x
 Trauma의 흔적
 5일 정도 좋아지는 듯 하다가 나타나는 심한 통증
Constitutional symptoms (전신증상) : 독감, 열, 구토
 통증은 그대로이지만 ‘less stiff’ 이라 진술 : 환자의 진술이라 해서 전적으로 신뢰 x

촘촘한 Assessment의 중요성 : palpation test를 통한 screening을 하지 않았음 (Left Upper Quadrant, LUQ)

shoulder pain : MSK 문제인지 viscerogenic 문제인지에 대한 감별이 없었음

 

 

 

*복부골반강 사분면(Quadrant)

오른쪽 상부 사분면(RUQ) 왼쪽 상부 사분면(LUQ)

 간의 일부
 담낭
 오른쪽 신장
 위장의 일부
 큰 창자의 일부(상행 결장 및 횡단 결장 부분)
 십이지장
 췌장의 머리
 소장의 일부

* 이 부위의 통증은 담낭의 감염 및 염증과 간 또는 위장의 소화성 궤양과 관련
* RUQ 통증의 일반적인 원인은 담낭 문제

 위장의 대부분
 비장
 간의 일부
 왼쪽 신장
 췌장의 주요 부분
 횡행 및 하행 결장
 소장 
오른쪽 하부 사분면(RLQ) 왼쪽 하부 사분면(LLQ)
 맹장
 오른쪽 난소
 소장의 일부
 오른쪽 요관

* 이 부위의 통증은 가장 일반적으로 충수염과 관련
 대부분의 소장
 일부 대장
 왼쪽 난소
 왼쪽 요관

* 이 부위의 통증은 일반적으로 여성의 골반 염증성 질환 및 난소 낭종뿐만 아니라 대장염 (대장의 염증)과 관련

복부골반강 구분면(a), 복부골반강 사분면(b)

출처 : med.libretexts.org/Bookshelves/Anatomy_and_Physiology/Book%3A_Anatomy_and_Physiology_(Boundless)/1%3A_Introduction_to_Anatomy_and_Physiology/1.4%3A_Mapping_the_Body/1.4F%3A_Abdominopelvic_Regions

 

*복부골반강 구분면

 

Right Hypochondriac Region : 우측늑하부

Epigastric Region : 심와부, 상복부

Left Hypochondriac Region : 좌측늑하부

 Liver : 간
 Gallbladder : 쓸개
 Right Kidney : 우측 신장

 Stomach : 위
 Liver : 간
 Pancreas : 이자
 Right Kidney : 우측 신장
 Left Kidney : 좌측 신장

 Stomach : 위
 Liver Tip : 간 끝
 Left Kidney : 좌측 신장
 Spleen : 지라(비장)

Right Lumbar Region : 우측요부

Umbilical Region : 제대부

Left Lumbar Region : 좌측요부

 Liver Tip : 간 끝
 Small Intestine : 작은 창자 (소장)
 Ascending Colon : 상행결장
 Right Kidney : 우측 신장

 Stomach : 위
 Pancreas : 이자
 Small Intestine : 작은 창자 (소장)
 Transverse Colon : 횡행결장

 Small Intestine : 작은 창자 (소장)
 Descending Colon : 하행결장
 Left Kidney : 좌측 신장

Right Iliac Region : 우측장골부

Hypogastric Region : 하복부

Left Iliac Region : 좌측장골부

 Small Intestine : 작은 창자
 Appendix : 맹장
 Cecum : 막창자
 Ascending Colon : 상행결장

 Small Intestine : 작은 창자 (소장)
 Sigmoid Colon : S상결장
 Bladder : 방광

 Small Intestine : 작은 창자 (소장)
 Descending Colon : 하행결장
 Sigmoid Colon : S상결장

 

3. 소화기 질환

1) 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위식도 역류질환 : 위산, 펩신, 담(쓸개)즙과 같은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질환

* 담즙(Bile)이 역류하면 보통 신맛, 쓴맛 느껴짐

 

전형적 증상

-속쓰림

-입안에서 쓴맛이 나는 역류

-트림

 

비정형 증상

-활동과 무관한 가슴통증

-기도에서 덩어리가 느껴짐

-삼키기 어려움 (연하곤란)

-삼킬 때 통증 (연하통)

-쌕쌕거림, 기침, 쉰 목소리

-천식

-인후염(목구멍이 아픈거), 후두염

-체중감량

-빈혈

 

GRED가 있으면 보통 PPI 처방 -> Chronic PPI로 인한 문제 발생 가능(6주차 내용 참고 / 위산 억제로 인해 영양분 흡수 저하 -> 빈혈 등 발생)

 

# Takeaway

위식도 역류질환(GERD) 증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호흡기 문제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호흡기 문제를 가지고 있을 경우 위식도 역류질환(GERD)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횡격막(Diaphragm)의 문제가 위식도 역류질환(GERD)증상과 연관될 수 있다.

위식도 역류질환(GERD) 증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약물이 빈혈, 신경병증, 골다공증, 척추골절과 같은 다양한 질환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MSK therapy의 분야와 관련되어 있다.

MSK 환자가 복용하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가 위식도 역류질환(GERD) 증상을 만들 수 있다.

골다공증, 척추골절과 관련된 척추후만증(Kyphosis)가 위식도 역류질환(GERD) 증상을 만들 수 있다.

키가 줄어든 경우, Lordosis에서 Kyphosis로 변했을 때 Fx. 가 있을 수 있음 -> 주의!!

 

*횡격막이 벨브 역할을 하기도 함 -> 벨브 역할을 잘 못하면 역류 발생 가능

횡격막과 위

2) 위 궤양

 하부 식도, 위, 십이지장을 감싸는 조직내벽의 손실

* 위액 등이 혈관이나 횡격막을 자극하여 다른 부위 통증(어깨 등)을 만들 수 있음

 점막을 통해 확장되지 않는 급성병변을 erosion(미란, 부식, 침식)이라고 함

 만성궤양은 근육층을 포함하여 근육조직을 파괴하고 치유부위의 영구적인 흉터를 남김

 위, 십이지장 궤양은 Helicobacter pylori 감염으로 인해 발생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는 식도에서 결장까지 전체 GI tract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음

 Clinical signs and symptoms

- 속쓰림 또는 음식에 의해 악화 되는 명치 통증의 경우 위궤양

- 음식, 우유, 제산제 또는 구토로 완화되는 경우 십이지장 궤양 
- 야간통
- 허리 방사통
- 복통
- 오른쪽 어깨 통증
- 현기증 또는 실신
- 메스꺼움
- 구토
- 거식증
- 체중 감소
- 혈변

- 검은변

 

 

3) 충수염(충수의 위치는 사람마다 다름)

 일반적으로 수술이 필요한 심각한 질병

 맹장이 막히거나, 염증이 생기거나, 감염되면 파열이 일어나 복막염을 유발 할 수 있음

 Clinical signs and symptoms

- 배꼽주위, 명치 통증

- 사분면에서 우측 아래(RLQ), 옆구리 통증

- 오른쪽 허벅지, 사타구니, 고환 통증

- 근육의 보호기전으로 복부가 단단해짐.

- McBurney’s point (+)

- pinch-an-inch (+) (꼬집어 보는 것)

- Rebound tenderness (복막염 확인 할 때) 눌렀다 땔 때 아픔

- hop test (+) (한쪽 다리로 여러번 위로 뛰게 함)

- 매스꺼움, 구토

- 거식증

- 배뇨장애 (통증, 배뇨곤란)

- 낮은 발열

- 설태와 구취

 

# Takeaway

 RLQ에 문제가 있을 확률이 높다

 허리나 고관절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신경 및 하지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 McBurney’s point

- 충수의 위치는 고정 된게 아님, 사람마다 다르므로 평균적으로 위치한 지점을 말함

- ASIS와 배꼽 사이를 그은다 -> ASIS에서 배꼽방향으로 1/3 지점에 위치

 

 

 

 

 

 

* 충수는 Obturator internus 또는 Iliopsoas와 인접해 있을 수 있음(아래 그림 참고)

왼쪽 : Iliopsoas와 연관되는 경우 / 오른쪽 : Obturator internus와 연관되는 경우

 

4)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염증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유전적, 면역학적 영향과 관련하여 원인을 알수없는 GI tract의 장애

 Clinical signs and symptoms

- 설사

- 변비

- 발열

- 복통

- 직장 출혈

- 야간에 나타나는 식은땀

- 식욕 저하, 메스꺼움, 체중 감소

- 피부 병변

- 포도막염 (눈의 염증)

- 관절통

- 관절통이 여러 곳으로 이동함

- 등(허리)통증, 고관절 통증(장요근 농양, Refferd pain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해 발생)

 

 

5) 대장암 

 초기단계

- 직장출혈, 치질

- 복부, 골반, 허리(등), 천골 통증

- 요통 및 다리 아래로 퍼지는 방사통

- 배변 패턴의 변화

 

 후기단계

- 심한 변비

- 많은 점액을 동반한 설사

- 메스꺼움, 구토

- 복부팽창

- 체중 감소

- 피로 및 호흡곤란

- 발열(덜 흔함)

 

 

6) 요근농양(Psoas abscess / Psoas에 여드름 같은게 생기는 것이라 봐도 됨)

 장요근은 S자 결장, 충수, 빈창자, 요관, 복부 대동맥, 신장, 췌장, 척추 및 장골 림프절과 같은 많은 복부 내 기관과 연접

 -> 이러한 기관의 감염은 장요근으로 퍼져 장요근 농양이 생길 수 있음

 장요근은 요추동맥, 장요동맥, 폐쇄동맥, 외장골동맥, 총대퇴동맥에서 파생된 복잡하고 풍부한 혈액 공급을 가지고 있음 -> 이러한 풍부한 혈액 공급은 장요근에 혈행 감염의 확산을 일으키기 쉽다.

 전형적인 세가지 특징 : 발열, 절뚝거림, 허리통증

 Clinical signs and symptoms

- 발열

- 야간에 식은땀

- 복통

- 식욕감퇴 또는 기타 위장 장애

- 등(허리), 골반, 복부, 엉덩이 및 또는 무릎 통증

- Antalgic gait : 진통보행 /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증이 있는 관절로 버티는 시간을 줄이는 방식으로 걷는다.

- 부드러운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함

 

 

 

 

* Psoas : 척추 Disk에 유일하게 붙는 근육이라 봐도 됨 / 주변에 중요 혈관들과 장기들 위치

* Psoas를 촉지하려면 거의 MCP Jt. 까지는 들어가야 함. 즉 손가락 1개 정도 깊이는 들어가야 촉지 가능

* Psoas가 Disk와 Vertebra에 붙기 때문에 Spinal cord로 전이 될 수 있음(Red flag)

 

 

정리

• 소화기계 질환은 어깨, 등, 허리, 골반, 고관절 등에 통증을 유발

 소화기계 질환과 관련된 징후 및 증상 등을 동반

 특정 소화기계 질환 자체가 MSK pain 유발

 특정 만성 통증 환자의 관련된 약물이 위장관(GI tract) 질환을 유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