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Red flag 감별진단

Hematological disease - Red flag 감별진단 교육 4주차 정리

by 가 온 2020. 10. 31.
반응형

Hematological disease

 

• Blood는 혈장plasma, 적혈구erythrocyte, 백혈구leukocyte, 혈소판platelet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역할이 존재한다.
• 특정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역할과 특징에 해당되는 문제가 발생하기에 구성 요소들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호흡 곤란Dyspnea, 약함weakness, 피로fatigue, 심장떨림palpitations, 창백pallor, 손과 손가락의 변화(손톱 모양이 다르거나 색의 변화)change in the hand and fingernail beds
• Hematological disease 의 문제가 근골격계의 문제로 나타나기도 한다. 운동치료 및 도수치료 시 주의 필요 
• 심박출량 감소로 심박동수가 증가하면 운동 수행능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Hematological disease 의 증상 뒤에 serious pathology가 숨어있을 수 있다.

 

 

분류

• 적혈구 장애Erythrocyte disorder
• 백혈구 장애Leukocyte disorder
• 혈소판 장애Platelet disorder

우리는 Erythrocyte disorder & Platelet disorder에 더 집중해야 한다.

 

 

1. 적혈구 장애Erythrocyte disorder

1) 빈혈Anemia

 건강한 적혈구가 줄어듬

 생리학적으로 필요한 양보다 부족한 상태

Sings & Symptoms

- 현기증Dizziness, 어지러움lightheadedness
- 심계항진Palpitation(자신의 심장 박동을 불편하게 느끼는 증상) 
- Shortness of breath -> Breathing pattern disorder(BPD)
- Headache
- Bone pain, joint pain
- Chest pain, abdominal pain
- Pallor
- Cold hands feet
- Fatigue

* Shortness of breath, Headache, Bone pain, joint pain 으로 인해 치료사를 찾아 올 수 있음

-> '위의 증상만 있는가?' 아니면 '다른 Red flag가 같이 있는가?' 항상 구별해야 함

 

혈액손실(생리, 출혈 등), 적혈구 생산량 감소, 적혈구의 파괴로 인해 발생

• 철결핍성 빈혈,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겸상 적혈구(Sickle cell) 빈혈등로 나뉨 -> Neuromuscular symptom으로나타날 수 있다.

 

(1) 철결핍성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채식주의 - 붉은 고기 섭취 부족 시 빈혈 발생 가능 => 환자가 비건인가? 비건이라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식단을 진행하는가? 등을 체크해야 함

흡수 감소 - 위 절제술(위의 기능이 떨어져 나중에 빈혈이 올 수 있음 - 몇 년뒤에 올 수도 있음), IBD(inflammatory bowel disease/염증성 잘 질환), 약물 등으로 인해

• 철분의 수요 증가 - 급속한 성장, 임신

• 손실 증가 - 월경, 위궤양, 대장암, helicobacter pylori(철분을 잡아먹음), 구충(피를 빨아먹음 / 개발도상국 등 여행 다녀오고 난 후 조심 => History taking 시 여행도 체크해야 하는 이유)

• 비만(수요증가와 흡수감소와 관련)

 

*약물이 빈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 NSAIDs로 인한 소장 염증 및 출혈 또는 위장 점막 손상

- PPIs(위산 분비 억제제)가 ID(Iron deficiency/철분 부족) 유발 -> 위산 분비가 안되어 PH가 낮아지지 않아 철분 흡수 저하됨. 즉 Chronic PPI가 철분 흡수 방해

 

(2) 겸상 적혈구 빈혈Sickle cell anemia

 유전

• 비정상적인 헤모글로빈 생성으로 인한 질병
• 낫 또는 구부러진 모양으로 인해 조직에 적절한 혈액 공급 불가

 

(3)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Vitamin B12 deficiency anemia

Carpal tunnel syndrom, TOS 등을 발생시킬 수 있음


Chronic use of NSAID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gastrointestinal (GI) mucosal injury and overt bleeding events. (Lanas & Sopeña, 2009)

 

Clinically-meaningful decreases in haemoglobin ≥2 g/dL occurred in a relatively similar fashion over time (Goldstein et al., 2011)

 

Small intestine inflammation and bleeding (enteropathy) due to NSAIDs must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anemia in patients with arthritis. (Davies et al., 1996)

 

위의 이유로 '어떤 지병이 있는지?', '어떤 약을 먹는지?' 알아야 함

(환자들이 다른 질병으로 인해 약을 먹고 있어도 의사나 치료사에게 이야기 안하는 경우 많음)


2) 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

*~emia가 붙어있으면 혈액과 관련있다고 보면 됨

 적혈구 생성 증가 -> 혈액 점도 증가 -> 혈전thrombi 또는 색전emboli 발생 증가 -> 허혈ischemia

 Clinical signs & symptoms
- fatigue
- headache
- sweating
- numbness of the hands or feet(작은 혈관이 막히며 증상 나타나기 시작)
- bone pain
- shortness of breath
- shest pain
- 가려움증pruritis(피부가 일어나고 가려움)
- 청색증cyanosis
- 고혈압hypertension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 deep venous thrombus[=deep vein thrombosis(DVT)] 일 땐 주의 ∵ 혈전이 manual로 인해 떨어져 이동 -> 폐 혈관으로 이동하여 폐색전증 유발 가능, 심하면 사망까지 가능

단, DVT가 없을 땐 예방차원으로 manual 하는 것은 좋다. Ex) DVT가 없는 환자는 THA 수술 전에 calf manual 권장

 

 

2. 백혈구 장애Leukocyte disorder

1)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세균 감염Bacterial infections
• 염증 또는 조직 괴사Inflammation or tissue necrosis
• Metabolic intoxication
• Neoplasms
• 급성 출혈Acute hemorrhage
• 비장 적출술Splenectomy
• 폐렴Pneumonia

-> 위의 원인들로 나타날 수 있음

 

2) 백혈구 감소증Leukopenia

 Leukocytosis는 이점이 있기라도 하지만 Leukopenia는 좋은 점이 하나도 없음

다발성 관절통 또는 관절염, 염증으로 인한 근육 약화, 피로, 호흡 곤란 등 발생 가능

 

3) 백혈병Leukemia

백혈구도 골수에서 만들어지므로 비정상적으로 백혈구가 많아지면 적혈구 생성량이 줄어 빈혈 발생 가능

 

3. 혈소판 장애Platelet disorder

1) 혈소판 증가증Thrombocytosis

 혈소판의 수가 증가함.

 극심한출혈, 수술, 비장절제술 이후 보상기전에 의해 혈액응고가 과하게 되며 혈전으로 이어 질 수 있다.

 암이 있을 수 있음

 점성이 높아짐 → 혈전증

 임상적 증상 & 징후: 혈전증, 비장의 비후, 쉽게 멍듬

 

2)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백혈병, 암, 암 치료 받은 환자 들이 나타날 수 있다.

경미한 상처에도 출혈, 점상 출혈 (작은 빨간색 점), 반상 출혈 (쉽게 멍듦), 자반점 (피부 아래 출혈), 코피, 과도한 월경, 치은(잇몸) 출혈, 혈변 등 발생

manual 시 주의 필요, 치료 후 심한 멍이 생길수도 있음, 특히 내장기 도수 치료 및 침치료 주의!

 

3) 혈우병Hemophilia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유전병 중 하나로서 혈액 응고 인자가 없거나 기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

피가 잘 멎지 않음

 임상적 증상 & 징후: 혈관절증, 점진적 움직임 감소, 근위축, 굽힘 구축, 극심한 통증, 관절 부종이 오랜기간 지속, 근육속의 출혈(Ex. iliopsoas내의 출혈로 인해 Femoral N.에 압박이 가해져 신경증상 만들 수 있음)

반응형